2025년 3월 산불 특별재난지역 어디인지 알아봅니다. 최근 대규모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들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습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아래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과 해당 지역을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목차 ]
산불 특별재난지역 선포 지역

3월 25일 선포 지역
경상남도 산청군
3월 25일 추가 선포 지역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남도 하동군
3월 27일 추가 선포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정부 산불피해수습 중앙합동지원센터 안내
산불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 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중앙합동지원센터가 운영됩니다. 중앙합동지원센터는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 금융기관, 지자체 등 43개 기관으로 구성됐습니다. 센터는 이재민 구호, 시설 및 주택 복구, 이재민 의료 지원, 영농 피해 상담 등을 맡습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란?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정부가 자연재해나 대형 사고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을 지정하여 국가 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제도입니다. 주로 태풍, 홍수, 지진, 산불 등의 재해가 발생했을 때 적용되며, 선포된 지역은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됩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피해 규모가 일정 기준을 넘어야 합니다. 피해 조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며, 아래 조건을 충족하면 선포가 검토됩니다.
- 재산 피해 규모
- 일정 금액 이상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경우
- 주요 기반시설(도로, 교량, 공공건물 등)의 피해가 클 경우
- 복구 비용 규모
- 피해 복구에 소요되는 비용이 지자체 단독 부담이 어려운 수준일 때
- 지방자치단체 예산만으로 복구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특별재난지역 선포 가능
- 주민 생활 피해
- 인명 피해가 발생하거나, 많은 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경우
- 생활 기반(주택, 농경지 등)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이상입니다.
[다른글]